Information encountered after an event can influence subsequent remembering. External information can easily integrate into a witness’s memory, especially if the event was poorly encoded or the memory is from a distant event, in which case time and forgetting have degraded the original memory. 

(With reduced information available in memory )with which to confirm the validity of post-event misinformation, it is less likely that this new information will be rejected. Instead, especially when it fits the witness’s current thinking and can be used to create a story that makes sense to him or her, it may be integrated as part of the original experience. This process can be explicit (i.e., the witness knows it is happening), but it is often unconscious. That is, the witness might find himself or herself thinking about the event differently without awareness. Over time, the witness may not even know the source of information that led to the (new) memory. Sources of misinformation in forensic contexts can be encountered anywhere, from discussions with other witnesses to social media searches to multiple interviews with investigators or other legal professionals, and even in court.

해석: 

사건 후에 마주친 정보는 이후의 기억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사건이 불충분하게 부호화되었거나, 그 기억이 시간과 망각이 원래의 기억을 저하시켜 온 먼 사건으로부터 온 것이라면, 외부 정보는 목격자의 기억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 사건 후의 잘못된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줄어든 정보를 가지면, 이 새로운 정보가 덜 거부될 듯하다. 대신에, 특히 그것이 목격자의 현재 생각과 맞고 그 또는 그녀에게 이해되는 하나의 이야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때, 그것은 원래 경험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사건 후에 마주친 정보는 이후의 기억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사건이 불충분하게 부호화되었거나, 그 기억이 시간과 망각이 원래의 기억을 저하시켜 온 먼 사건으로부터 온 것이라면, 외부 정보는 목격자의 기억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 사건 후의 잘못된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줄어든 정보를 가지면, 이 새로운 정보가 덜 거부될 듯하다. 대신에, 특히 그것이 목격자의 현재 생각과 맞고 그 또는 그녀에게 이해되는 하나의 이야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때, 그것은 원래 경험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 이 과정은 명시적일 수 있지만(, 목격자는 그것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것은 흔히 무의식적이다. , 목격자는 의식하지 못한 채 그 사건에 대해 다르게 생각하는 그 자신 또는 그녀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격자는 (새로운) 기억으로 이끄는 정보의 출처조차 모를지도 모른다. 법정의 상황에서의 잘못된 정보의 출처는 다른 목격자들과의 토론에서부터 소셜 미디어 조사들, 수사관 또는 기타 법률 전문가들과의 다중 인터뷰들, 심지어 법정에서까지 어디에서나 마주쳐질 수 있다.

이 난해한 글을 논리적으로 요약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 가장 이해가 안되는 것은 굵은 글씨 부분입니다. "기억속의 이용가능한 줄어든 정보"란 도무지 무엇일까요? 사건 후의 잘못된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사건 후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있는 기억속의 줄어든 정보라는게 뭔 말인가요?

3. 유효성이 확인 될 때 이 새로운 정보(사건 후의 정보)는 왜 기억에서 거부될 가능성이 적은 것인가요?

   이제는 사건 후의 정보가 유효하다고 믿기 때문에?

4. instead는 거절되는 대신에라는 것이고, 유효성이 확인된 정보가 기억에 통합되는 상황을 instead이하가 설명하는 것일까요?


결론은 사실의 유효성을 검증하더라도 사건 후 정보에 의해서 기억이 왜곡된다는 것인데요.

유효성을 검증해도 사람들은 착각을 한다는 이야기인가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2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1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94
125782 실제로 결혼식 당일 결혼취소되는 커플이 있나요? [17] 교육 2013.05.17 8905
125781 정준하 진짜 왜 이러죠... [12] 달빛처럼 2013.04.27 8902
125780 영화 러브 스토리(1970) 진짜 제작비화 [6] 감자쥬스 2011.10.19 8898
125779 [feedback] 역겹다는 건 그런 의미가 아녔어요 -ㅁ-;ㅋㅋ [158] hottie 2012.11.18 8889
125778 톰 히들스턴의 가디언지 칼럼, 미녀와 야수의 야한 3D, 아톰 에고이앙 블루레이, 영상자료원의 뜯어지는 전단지, 포스터 몇 장. [6] mithrandir 2012.04.20 8889
125777 여성의 성형, 성형미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27] 자본주의의돼지 2010.10.24 8888
125776 애호박 1개 가격이 4600원대를 찍었군요-_-.... [18] Paul. 2010.09.21 8877
125775 뭐, 내 누드를 길거리에 전시하겠다고? [20] Bigcat 2016.03.19 8876
125774 괜찮은 남자가 점차 줄어드는 이유는 별거 없어요. [35] 루아™ 2011.11.28 8874
125773 곱게자란 아들딸내미들-_- [9] dragmetothemoon 2010.06.16 8874
125772 디아블로3, 6시간만에 디아블로를 학살(?)한 것에 대한 외국 유저들의 반응 [14] chobo 2012.05.18 8873
125771 [사진] 이케아 책상 스탠드 질렀어요~ [23] 서리* 2010.10.25 8867
125770 [동영상] 나는 가수다 박정현 이건 좀 아닌 거 같습니다 [44] 2Love 2011.03.07 8857
125769 모 영화평론가의 결혼 청첩장 [16] BT 2010.10.29 8857
125768 노회찬씨에게 해주고 싶은 말 [8] 그림니르 2010.06.02 8855
125767 2020 BAFTA Award Winners [1] 조성용 2020.02.03 8846
125766 서정범 교수에게 이런일이 있었어요? [23] 무비스타 2012.09.02 8846
125765 인맥 넓은 사람들 [24] 푸른새벽 2013.10.23 8841
125764 [바낭] 사라 제시카 파커는 왜 뭘 입어도 다 어울리는 걸까요? [제목 수정했어요] [52] OscarP 2013.02.09 8841
125763 노무현의 FTA, 이명박의 FTA 비교 정리 [24] Hollow 2011.10.30 88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