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0월 9일에 제가 글을 하나 올렸는데 댓글이 많이 달렸습니다. 남자들보고 살림하라고 악다구니 쓴 것도 아니고, 가전제품 쓰고 사람 사서 쓰면 더 경제적이라는 온건한 글에, '위험한 발상'이라며 긴 댓글이 달린 걸 목격했죠. 한국 사람들은 진짜 여자들이 살림을 쉽게 쉽게 처리하는 모습을 그냥 보질 못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예전에 제가 한옥짓는 목수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이 분 하시는 말이 요즘 양식 집은 여자들에게 너무 편하다면서, 한옥은 불편하기 때문에 운동을 많이 하게 되고 따라서 여자들에게 좋다고 하더군요. 환기가 되지 않는 부엌에서 장작으로 요리를 하면 폐암 확률이 높아지고, 한겨울에 우물물 길어서 살림하면 손이 부르틉니다.  우리가 과학을 배우고 혁신을 추구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인간이 환경을 바꿔서 더 편하게 살기 위함일 것입니다. 그런데 왜 굳이 혁신과 생산성 향상의 흐름에서 여자들은 소외가 되어야하는지 모르겠군요. 제가 예전에 조선일보 이규태 칼럼을 책으로 읽은 적이 있는데, 거기 보면 이규태 기자는 일제시대 한국 여자들이 콩나물을 빨리, 쉽게 다듬는 법을 배우지 않았던 것은 일이 없을 때의 무료함을 알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일이 줄면 얼마나 좋은데 왜 그런 생각을 할까요. 기술과 경제학 원리는 위험한 양날의 검이기 때문에, 제대로 다룰 수 있는 남자들만 사용해야 옳은 것일까요? 하긴 어느 오소독스한 종교집단에서는 핸드폰도 못쓰게 하는데, 그것도 남자들에게는 허용되더군요.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최근까지 여자들이 운전하는 것 조차 허용되지 않았구요. 


2. 이진주씨가 만든 걸스로봇이란 단체가 있는데, 여성들이 이공계에 진출하는 걸 돕는다 하더군요. 뭘로 돈을 버는지 비즈니스 모델 (혹은 정확히 정체가 뭔지)은 잘 모르겠습니다. 하여간 여성들이 이공계 전공한 다음 해외취업하는 건 괜찮은 루트인 것 같아요. 

http://girlsrobot.co.kr/


3.  저번에 제가 올린 글에 달린 모스리님의 댓글을 읽었습니다. 아이를 낳아서 밥을 챙겨주는 경험을 해보면, 여러가지 생각이 들죠. 무럭무럭 잘 자라길 바라는 생각도 있고, 아낌없이 주는 사랑을 느끼기도 하겠죠. 


어렸을적 어머님이 우리들에게 항상 따뜻한 밥을 주셨죠

자신이 드시는 밥이 묵은밥이였을지라도

그건 내 새끼가 무럭무럭 잘 자라길 바라는 바램으로 인한 행동이지 

가족내 지위가 낮아서가 아닙니다.

어려운 시대를 살아오신 어머님들 

그러한 자식에게 아낌없이 주는 사랑에 대한  경험을 해보지도 않은 님이

인생을 길게 보지 못하며 눈앞에 내 떡조각만 보는 좁은 식견의 님이

주제 넘게 함부로 평가할 "가치"가 아닙니다.


그런데 실제로 엄마들에게 연필과 지면이 주어진다면 어떤 이야기를 할까요? 자기가 지은 새 밥을 자기 입에 먼저 넣지 못하고 자식에게 남편에게 주었을 때, 그 머릿속에는 모성애만이 가득했을까요? 만화가 순두부 님은 엄마로서 자식이었던 자신을 되돌아보며 이 질문에 대한 힌트를 줍니다. 


http://webtoon.daum.net/webtoon/viewer/57123


밥에 티끌만한 고춧가루라도 묻으면 밥 안먹는 아이. 찬 밥에 물말아주면 밥 안먹는 아이. 굳은 밥 있으면 던지는 아이. 햇반이면 끈적하다고 안먹는 아이.  


자식에게 밥을 지어서 먹여본 부모라면 새 밥이었을 때와 헌 밥이었을 때 아이가 밥먹는 속도, 정도가 다르다는 걸 알고 있을 겁니다. 머릿속에는 "야. 이번만 대강 먹어"란 말이 맴돌아도, 일단 배를 불려놔야 내가 다음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참고 해달라는 대로 지지고 볶고 끓여서 내놓기도 하죠. 인생을 살아보면 알게 되죠. 자식들은 깊이 생각하기 귀찮아서 '아낌없이 주는 사랑'이라고 말하지만, 그 이면에는 피로, 짜증, 분노, 인내, 계산, 그리고 어른된 입장도 있다는 걸요. 제 생각에 인생에 대한 식견이란 건, 어머니 머릿속에도 모성애 말고도 다른 게 있다는 걸 이해할 때, 어머니라는 타인의 입장을 그 사람의 입장에서 이해할 때 생길 수 있을 겁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3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9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69
123750 부담없이 보기 좋은 애플티비 시리즈 추천 [4] LadyBird 2023.07.15 415
123749 바비 그레타 거윅X정서경 스페셜 토크(링크) [1] 상수 2023.07.15 366
123748 8월 개봉예정 한국영화 지옥만세(리뷰 링크 추가), 고질라, 로그원 연출 가렛 에드워즈 크리에이터 한글자막 예고편 상수 2023.07.15 245
123747 테스에 이런 구절이 있나 삶의 가치는 [4] 가끔영화 2023.07.14 273
123746 구급차가 싸이렌이 아닌 경광등만 켜도 긴급인가요? [1] 첫눈 2023.07.14 288
123745 [KBS1 독립영화관] 평평남녀 underground 2023.07.14 154
123744 [티빙바낭] 골렘 안 나옵니다. '더 라임하우스 골렘' 잡담 [2] 로이배티 2023.07.14 216
123743 프레임드 #490 [4] Lunagazer 2023.07.14 91
123742 애플티비 제작, 소니 배급 리들리 스콧, 와킨 피닉스 나폴레옹 예고편 [8] 상수 2023.07.14 412
123741 오펜하이머 오프닝 룩(유니버셜 공식 유튜브) [3] 상수 2023.07.14 285
123740 넷플릭스 BEEF가 에미상 11개 부문 13개 후보.. [3] 폴라포 2023.07.14 486
123739 미야자키 하야오 신작 그대들 어떻게 살 것인가 관객평점이 올라오는 중인데 상수 2023.07.14 631
123738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pero acuerdo de ti/dirrty daviddain 2023.07.14 164
123737 주윤발 건강이상설 확산...은 사실 확인이 필요하네요. [3] 영화처럼 2023.07.14 441
123736 한컴타자라는 취미 [2] Sonny 2023.07.14 313
123735 XXX HOLiC 만화책 catgotmy 2023.07.14 143
123734 유승준과 한국의 복수 [3] 여은성 2023.07.14 691
123733 7월 13일- 나이스데이 상수 2023.07.13 210
123732 [티빙&웨이브바낭] 기대와 다르게 너무 멀쩡한 영화였던 '골렘 위치 스토리'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7.13 247
123731 요즘 드라마 보면 남자 연기자들이 일반인 같이 생겼어요 [5] 가끔영화 2023.07.13 6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