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보다도 더욱 더 격하게 잡담이라 평소 형식 무시하고 대충 적습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두 주인공에 이어 설경구, 박철민, 추상미, 박광정 등 은근 화려한(?) 캐스팅을 자랑합니다.)



그러니까 다짜고짜 본론으로, 보다 만 이유를 말하자면 별로 재미도 없었지만 이게 영 보기가 버겁네요.

옛날에도 보긴 본 걸로 기억하는데 뭐 이게... 다시 보니 깜짝깜짝 놀라게 돼요.

그러니까 영화 개봉 당시 시점 한국 나이로 17세였던 이정현이 나오잖아요. 찾아보니 촬영 시점에는 16세였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만.

등장과 거의 동시에 문성근에게 성폭행 당하는 게 나오고, 조금 있다가 또 나오고.

전라 상태로 자해하는 게 막 나오고.

극중에서 문성근 캐릭터가 얘한테 돌팔매질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아무리 봐도 정말로 막 던지는 것 같고 심지어 그걸 맞는데 진짜로 맞지 않았나 싶고.

그 외에도 디폴트 상태가 매우 안 좋죠. 


그래서 일단 영화 외적으로 맘이 불편해져서 영화 내용에 몰입이 안 됩니다. ㅠㅜ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아무리 봐도 진짜 던진 것 같고, 또 진짜 맞은 것 같고...;)



근데 정말 소올직히 말하면 저는 이런 부분이 있더라도 영화가 아주 잘 만들어졌다면 보다가 깜빡하고 집중을 할 수도 있는 사람입니다만.

그 역시 잘 안 됩니다;

영화의 컨셉 자체가 그렇게 쭉 추레하고 빈곤하고 처참해야 한다는 건 알겠는데.

그냥 못 만든 것처럼 느껴지는 장면들이 많아요. 

뭔가 20세기 한국 지식인 영화... 라고나 할까요. 아 이런 비유구나 이런 상징이구나. 이해는 가지만 너무 투박하다 싶은 부분들도 많구요.

뭐 1996년 개봉작이라는 거, 그리고 제작 환경이 넉넉하지 못했다는 것도 감안은 해야겠지만 그냥 만듦새가 부족하단 생각이 계속 듭니다.


이렇게 두 가지가 결합이 되니 자꾸 보다 끊고, 보다 끊고를 반복하다가 '아니 내가 뭘 굳이 이걸 끝까지 봐야 하나' 싶어서 중단했습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좋은 취지는 알겠지만 그게 엄...)



이 영화의 역사적, 사회적 의미는 잘 알죠. 분명 큰 역할을 한 영화라는 건 잘 알겠는데,

그래도 정말 못 보겠어요. ㅋㅋㅋ 차라리 이정현이 나온 요즘 영화를 보는 게 낫겠다 싶더라구요.

따지고 보면 제가 애초에 장선우 후기(?) 영화들 중에 좋게 본 게 없다시피 하니 그냥 저랑 안 맞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그래도 옛날에 우묵배미의 사랑 같은 건 재밌게 봤던 기억이 있는데 한 번 다시 보면서 확인해볼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어쨌든 이정현은 참으로 강렬하고, 또 잘 합니다만. 배우 역량과 상관 없이 그 시절이었으니까 가능했던 별로 안 좋은 강렬함이었네요.)



그럴 시간에 차라리 취향에 맞는 영화 한 편 더 찾아보는 게 건설적이겠죠. ㅋㅋ

암튼 뭐 그러합니다.

그래도 이정현씨는 나중에 특별히 이 시기에 대해 나쁘게 언급하지는 않고 사는 것 같고, 또 이후로 대스타도 되고 잘 살아 남아서 지금도 잘 계시니 된 걸로.




 + 마침 또 이런 뉴스가 떴네요.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104MW112044206007


“15세 베드신 성학대” 올리비아 핫세, 영화사에 6천억원 소송


소장에 따르면 영화를 연출한 프랑코 제피렐리 감독(2019년 사망)은 베드신 촬영을 앞두고 배우들에게 피부색깔의 속옷을 입고 촬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핫세는 15세, 위팅은 16세였다.


하지만 실제 촬영 당일 아침 이야기가 달라졌다. 제피렐리 감독은 핫세와 위팅에게 속옷 없이 몸에 간단한 화장만 한 채로 촬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피렐리 감독은 맨몸이 드러나지 않게 카메라 위치를 조정하겠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영화에는 배우들의 엉덩이와 가슴이 그대로 노출됐다.


이들은 소장에서 “감독은 반드시 나체로 촬영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영화가 실패하고 배우들의 커리어도 망가질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배우들로서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고보면 어쨌거나 세상은 조금씩이라도 나아지고 있는 것 같기도 하구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29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4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993
122071 [왓챠바낭] 꽤나 곱게 망한 지구의 인간들 이야기, '스테이션 일레븐'을 봤어요 [10] 로이배티 2023.01.10 474
122070 개 병구완(시시콜콜 쓸데없이 상세함 주의) [13] thoma 2023.01.10 409
122069 에피소드 #19 [2] Lunagazer 2023.01.10 117
122068 프레임드 #305 [4] Lunagazer 2023.01.10 114
122067 불면증을 고치는 방법 [2] catgotmy 2023.01.10 301
122066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새 예고편 [2] 예상수 2023.01.10 301
122065 듣보잡 영화 <늑대의 혈족> [2] daviddain 2023.01.10 406
122064 프레임드 #304 [6] Lunagazer 2023.01.09 141
122063 [왓챠바낭] 암튼 그냥 지구가 망했으면 하게 되는 영화, '테이크 쉘터' 잡담입니다 [8] 로이배티 2023.01.09 584
122062 하늘에서 뭐가 떨어진다고 조심하래요 [3] 가끔영화 2023.01.09 474
122061 [왓챠바낭] 진부 식상하게 잘 만든 지구 멸망 드라마, '디즈 파이널 아워스' 잡담 [6] 로이배티 2023.01.09 502
122060 1961년 영국 영화 Whistle down the wind [10] daviddain 2023.01.08 336
122059 넷플릭스 '페일 블루 아이' 짧은 잡담. [4] thoma 2023.01.08 831
122058 프레임드 #303 [2] Lunagazer 2023.01.08 140
122057 2023 National Society of Film Critics Awards Winners [1] 조성용 2023.01.08 254
122056 Owen Roizman 1936-2023 R.I.P. 조성용 2023.01.08 157
122055 [왓챠바낭] 못돼먹은 쪽으로 끝장을 보는 불량 영화가 땡기십니까. '벡키'가 있습니다. [8] 로이배티 2023.01.08 602
122054 지름신고 - 오니츠카 타이거 [12] theforce 2023.01.08 890
122053 명불허전의 더 퍼스트 슬램덩크를 봤습니다. [6] woxn3 2023.01.07 672
122052 [왓챠바낭] 이게 뭔데 캐스팅이 이런가... 해서 본 '데드걸'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1.07 51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