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의 비극' 읽고 잡담

2023.08.01 00:34

thoma 조회 수:430

시어도어 드라이저(1871-1945)가 1925년에 발표한 소설입니다.

아래에 소설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요. 


주인공 클라이드 그리피스는 가난한 전도사 부부의 맏아들입니다. 클라이드는 십 대에 접어들어서까지 부모를 따라나가야 하는 길거리 전도를 창피해 합니다. 왜 안 그렇겠나요. 그리고 딴 애들이 흔히 갖는 괜찮은 물건 하나 가질 수 없는 가난에 대한 내면의 반발이 큽니다. 잦은 이사로 제대로 교육도 직업 훈련도 못 받은 채로 우연히 호텔 벨보이로 취직합니다. 도심지의 호텔이란 어떤 곳인가. 자본주의의 (부패한)꽃? 자본주의의 거품? 십 대의 주인공에겐 별세계입니다. 부모가 늘 입에 담는 성경 말씀은 극빈한 가정 형편에 반사되며 클라이드에게는 공허할 뿐입니다. 그런데 호텔이라는 곳은 그 정반대의 모든 것을 펼쳐 보입니다. 효율적인 체계로 돌아가고 반짝거리는 물건들과 세련된 사람들로 넘치고 게다가 별일도 아닌 수고에 팁이 따릅니다. 이 첫 직업은 주인공 인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성실하게 일군 작은 행복은 지루하며 자신과는 거리가 먼 계층의 화려한 물질 세계의 아름다움에 끌립니다.

이십 대가 된 주인공은 그동안 호텔 동료들과 저지른 고향에서의 작은 사건 여파로 이곳저곳 떠돌다 사업하는 큰아버지와 연이 닿아 그 공장에 취직하고 본인은 재산 한 푼 없지만 그 도시의 유명인사인 큰아버지 이름 덕에 사교계에 발을 담그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이 소설은 이런 기질의 주인공이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기와 비슷한 계층인 로버타, 상류 계층인 손드라라는 두 여자와 관계를 갖고 암담한 결말을 향해 가는 이야기입니다. 


오래 전에 본 영화 '젊은이의 양지'의 기억이 흐릿하게 남아 있었으므로 삼각 관계의 막장 멜로물임을 알고는 있었지만 소설이 갖는 고유의 특징이 있으니 다르게 접근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소설은 제가 좋아하지 않는 삼각 관계 멜로물의 심화 확장판이라고 할까, '청춘의 덫' 류 드라마의 원조와 같은 위엄으로 예측가능한 일들을 세밀하게도 전개시켜 저를 압박해 왔습니다.(하마터면 읽기를 포기할 뻔) 단, 이런 감상은 두 권으로 나온 을유문화사판을 기준으로 상 권에 해당됩니다. 상에서 이미 클라이드의 마음은 로버타로부터 완전히 돌아서고 하 권의 초반에 문제의 '호수'로 갈 생각에 사로잡히는데 하부터는 이 작품의, 모든 것을 짚고 가는 식의 세밀한 전개를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그냥 넘어가는 장면이 없어요. 호수에서 클라이드와 로버타가 보트 위에서 어떤 상황이었는지 읽을 때를 기점으로 상 권을 읽을 때는 헛웃음이 났던 책의 표지에 적힌 문구 - '미국판 <죄와 벌>로 평가받는' 다는 그 문구를 순순히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보트 사건 이후 후반부로 가며 훨씬 재미있었어요. 재판 과정에서 클라이드의 인생과 로버타와 있었던 일들이 모두 복기가 되는데 다 알고 있음에도 흥미롭고요, 이건 같은 내용이라도 클라이드를 타자화하여 일반적인, 외부인의 언어로 표현하며 생기는 효과가 있었으니까요. 수감되고 마지막에 이르는 뒤의 100페이지는 이전까지 주인공의 환경과 대비되는 충격 효과와 더불어, 위에서도 썼듯이 작가가 비켜가지 않습니다...정면대결이로구나 싶습니다.


이 소설은 손드라를 향한 갈망으로 인해 자신들을(자기들끼리) 죽이는 이야기였어요. 로버타는 클라이드 자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드가 호수의 보트 위에서 극한 갈등에 빠진 자신을 혐오하는 부분을 조금 옮깁니다. 클라이드의 표정이 너무 이상하여 로버타가 기어서 다가옵니다. '그러자 클라이드는 순간 자신의 실패, 자신의 비겁함, 자신의 무능력을 뼈저리게 깨닫는 동시에, 또 순간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로버타에 대해, 그녀의 힘 또는 이런 식으로 그를 구속하는 인생의 힘에 대해 잠재되어 있던 증오심의 파도에 굴복했다.' 클라이드는 로버타를 자신의 인생으로 생각해요. 그렇게나 벗어나고 싶었던 누추하고 옹색하고 빈곤한 인생입니다. 

이 작품은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를 떠오르게 했습니다. 해설을 보니 다른 몇 소설과 함께 역시나 언급되어 있습니다. 발표 연도도 1925년으로 같네요.

엇, 이틀에 걸쳐 썼네요. 자정 너머까지...마무리가 부실하지만 이만 자야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9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3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13
124170 사진 저만 안올라가나요? [8] 강건너 불 2010.07.08 1736
124169 이끼..를 보고 [3] 라인하르트백작 2010.07.08 2945
124168 가까운 관계(친구,애인,부부,형제 등등)인 사람의 몹쓸? 인연에 대한 대처법 soboo 2010.07.08 2516
124167 맹뿌왔쪄염 뿌우 [10] 레벨9 2010.07.08 3045
124166 [이것이 바낭이다] 의미없는 것들 [7] 룽게 2010.07.08 2575
124165 문근영 8월 부터 대학로 연극출연, 작품은 무려 클로져! [7] 수수께끼 2010.07.08 4178
124164 말로만 듣던 개사기. [5] 아비게일 2010.07.08 3350
124163 이제 한시간만 견디면.... [8] soboo 2010.07.08 2381
124162 맙소사.. 열쇠가 없어서 집에 못들어가고 길에 나앉았어요.. [21] 29일 2010.07.08 5695
124161 맥북 어플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2] quint 2010.07.08 4233
124160 요가매트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7] 망구스 2010.07.08 2464
124159 축구: 독일 - 스페인 [168] tori 2010.07.08 4986
124158 해뜰 새벽에 신인걸그룹 걸스데이 갸우뚱MV [3] 메피스토 2010.07.08 2545
124157 왠지 2002년때 월컵이 생각나면서... nishi 2010.07.08 1978
124156 방금 한국 마사회에서 한 축구관련 광고 배경음악 뭐였나요? nishi 2010.07.08 2067
124155 오토튠 [1] gourmet 2010.07.08 4490
124154 사실 오늘 승패는 이미 정해져 있었죠. [10] nishi 2010.07.08 4095
124153 무릎팍 강타편 감상 [13] 감동 2010.07.08 5694
124152 오해는 적극적으로 해명해야 하는 것인지.. [8] 2010.07.08 3095
124151 [bap] 6.25전쟁 60주년 기념사진전 (천원의행복) [2] bap 2010.07.08 18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