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읽은 책과 읽을 책

2023.12.31 18:36

thoma 조회 수:312

[노변의 피크닉]을 읽었습니다. 아르카디 스트루가츠키, 보리스 스트루가츠키 형제가 함께 쓴 작품들 중 대표작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우연히 알게 되어 이분들 작품을 처음 접해 봤네요. 두 사람은 어떤 식으로 작업했을까요. 마르틴 베크 시리즈를 공동으로 쓴 셰발과 발뢰는 장을 번갈아 가며 썼다고 했는데, 그런데도 이야기에서 튀는 부분을 못 느끼겠고 자연스럽게 흐른다는 것이 신통했습니다.


SF 소설 문외한이지만 어렵지 않고 재미있다니 어디 한번...라는 마음으로 읽었는데 예상과 달리 상당히 진지하였습니다. 

진지하다는 것은 글이 사실주의적이라는 뜻입니다. 얼렁뚱땅 활극 종류는 아니었습니다. 중간에 물리학자의 어려운 설명도 잠시 나오지만 그런 부분은 길지 않고 문제가 되진 않아요. 외계의 방문이 끼친 영향으로 인해 존재에 대한 진지한 질문들을 더는 뒤로 미룰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되니까 생기는 긴장 같은 것이 있었고, 발생한 일을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현실을 살아야 하는 인간들의 조건을 바탕으로 해서 현실적인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거든요.

 

외계에서 어떤 존재들이 왔다가 이상한 흔적들을 잔뜩 남기고 갔다, 인간이여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우리와 차원이 다른 문명을 소유한 우주의 어떤 존재들이 무심하게(하지만 인간에겐 엄청 위험한 흔적을 남겨놓고) 다녀간 뒤 인류는 그 흔적들을 가지고 뭘 해 볼 수 있으며 향후 어떤 대책이 가능할 것인가. 

대부분의 인류는 그러거나 말거나 외계의 방문이 파생시킨 돈이 되는 일, 하루치 안락을 위한 돈벌이가 될 일 주변에 몰리고 주인공 레드릭 역시 그런 인물 중 한 명이었고 방문과 깊이 엮인 모든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안 좋은 일을 겪습니다.

외계가 방문한 구역에는 여러 희한한 물건들이 남아 있고 여러 희한한 방법으로 인간 목숨을 위협하는 물질로 가득한데 이 묘사가 아주 생생하고 맵습니다. 외계와의 점잖은 접촉인 드니 빌뢰브 감독의 '컨텍트'는 이 소설에 비하면 낭만적인 느낌마저 들었고, 제가 본 영화 중에서 찾자면 아름답게 순화되어 표현되었긴 하지만 '서던리치:소멸의 땅'이 제한 구역이란 점에서 떠오르더군요.

 

결국 범죄자가 주인공이라 사실주의적인 범죄 소설의 성격이 느껴지고요, 외계 방문이 실제로 일어났을 때 정부와 과학계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얼마나 수공업적이며 무력한지를 예상한 바 그대로 보여 줍니다. 1972년 소련에서 이 소설을 출판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던가 본데 이런 이유도 있었겠죠. 전능한 정부를 존재감 없이 그렸다거나. 

흥미롭게 읽었고요, 인간 종으로서 절망감도 품고 있는 소설이었는데 이래저래 작품의 무게감에 걸맞는 소감을 적기엔 지식이 부족해 이만 줄여야겠어요. 2023년 마지막 소설이었네요.

8972758388_1.jpg

한병철 저작 중 세 번째입니다. 

[시간의 향기]입니다. 저녁에 시작해서 두 해에 걸쳐 읽어 보렵니다.ㅎ

저자가 몇 해 전 한국 방문을 해서 독자와 만남 장소에서 불미스런 일이 있었다는 걸 읽었어요. 책의 저자도 그렇고 영화 감독도 그렇고 작품은 작가를 앞선다는 생각을 합니다. 인간은 불안정하고 부실한 정신과 육체의 소유자라 남모르는 약(악)함을 지니고 있다가 불시에 관리자를 벗어나기도 하네요. 관리자와 관리되는 자가 동일인이라도 똑같다고 할 수 없기도 하니까요. 인간의 최선의 형태로 작품이 나오니, 작품은 언제나 창작자 보다 나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이 저자 개인에 대해 더 자세히 알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8932023964_1.jpg

듀게 분들 모두 건강하십시오. 

날선 말이나 무딘 말로 알게 모르게 기분 상하게 한 일은 다 뒤로 날려 주시길 바랍니다. 슝슝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8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7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801
125140 이재명 대표 피습 자작설 [29] 칼리토 2024.01.03 1744
125139 프레임드 #663 [4] Lunagazer 2024.01.03 104
125138 내남편과 결혼해줘 1..2회 소감 [1] 라인하르트012 2024.01.03 538
125137 에피소드 #70 [2] Lunagazer 2024.01.02 100
125136 프레임드 #662 [4] Lunagazer 2024.01.02 89
125135 [디즈니플러스] 그래서 예정대로 두 미쿡 미남의 대결! '컬러 오브 머니'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4.01.02 447
125134 로빈훗의 전설 음악 돌도끼 2024.01.02 92
125133 립세의 사계 봤어요 [4] 돌도끼 2024.01.02 240
125132 황야(콘크리트 유니버스 시리즈, 넷플릭스 오리지널) 티저 예고편 [5] 상수 2024.01.02 341
125131 이재명 피습 [5] 상수 2024.01.02 929
125130 바낭 - 나는 왜 갑자기 박지윤 누나의 노래에 꽂혔는가(...) 상수 2024.01.02 213
125129 아재가 예술을 해야하는 이유 갓파쿠 2024.01.02 259
125128 [영화바낭] 새해 첫 영화는 별 이유 없이 그냥 '허슬러'입니다 [8] 로이배티 2024.01.02 345
125127 이 영화 제목 알고싶습니다. 장님여성과 연쇄살인마 [8] 도둑까치 2024.01.01 530
125126 프레임드 #661 [2] Lunagazer 2024.01.01 64
125125 2024년 1월 1일 오후 4시경 일본 도야마 현에 진도 7.6 강진(쓰나미 경보, 동해안에도 영향) 상수 2024.01.01 146
125124 (스포) [동경의 황혼] 보고 왔습니다 [2] Sonny 2024.01.01 226
125123 남산에서 새해 해돋이를 보고(꿀팁 약간 있음) 상수 2024.01.01 184
125122 2023년 마지막 촛불시위! [4] Sonny 2024.01.01 272
125121 [핵바낭] 새해 복 많이! & 작년 듀게질 결산 & 올해의 첫 일상 핵바낭 [20] 로이배티 2024.01.01 4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