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6/2020071602965.html

[친여(親與) 성향 방송인으로 꼽히는 이동형 작가와 박지희 프리랜서 아나운서가 16일 오후 2시 이씨의 개인 유튜브 채널 ‘이동형 TV’ 라이브에 함께 출연했다. 각각 YTN라디오와 TBS TV에서 시사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이씨와 박 아나운서는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했던 전직 비서 A씨에 대해 ‘피고소인은 인생이 끝났는데 고소인은 숨어 뭐하는 것이냐’ ‘4년 동안 무엇을 하다 이제 세상에 나왔느냐’고 말한 사실이 전날부터 보도되면서 2차 가해 논란에 휩싸였다.]

...

[방송 초반 이씨는 논란을 의식한 듯 “어휴, (방송을) 켜자마자 시청자가 3000명이야”이라고 말하자 박 아나운서가 “내가 지금 이 두 사람(진행자)과 방송하는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 (실시간 검색어에서) 이제 좀 내려갔으면 좋겠다”라고 했다. 이어 이씨는 “아, 나는 4위를 했더라고. 아쉬워. 1위를 못해서”라고 말하며 웃었다.

이씨는 이후 “오늘 엄청나게 많은 문자를 받았다. 이럴 때일수록 의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며 “나는 잘못한 게 없다고 생각하는데 이럴 때 떠밀려서 사과하게 되면 더 두들겨 맞게 돼 있다”고 했다. 사회자가 ‘언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하차하느냐’고 묻자 “모가지를 끌고 나가도 나는 버틸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이씨는 “과거에 미국에서 매카시즘(1950~1954년 미국을 휩쓴 일련의 반공산주의 운동) 광풍이 불어 정치적 반대파들을 빨갱이라고 말하며 해명하려고 하면 아무말도 못하게 했다”며 “한국에 넘어와서 70~80년대 매카시즘 열풍이 불었는데 지금 메갈리즘 열풍, 2차 가해 열풍이 똑같이 불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조금 이상하다고 이야기해도 2차 가해라고 한다”고도 하소연하듯 말했다.]

---
'토착왜구'를 사냥하던 그들은 이제 스스로를 매카시즘의 희생자로 규정한다. 나는 이런 일이 재미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내일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도 재미있다고 생각할 것이며, 그 다음 날도, 그 다음 날도 재미있는 일들이 벌어진다고 여길 것이다. '매일같이 재미있는 일들이 벌어진다' 나는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이 일은 재미있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고 말 것이다. 너무 재미있어서 견디지 못할 만큼이 아니라, 그게 왜 재미있는 일인지를 생각하지 못할만큼만 재미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만큼은 재미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래야만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면서 재미있다고 생각하기를 멈추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완전히 논리적이다. 나는 의심의 여지 없이 건전하다. 이런 일들은 재미있으며 나는 그것이 재미있음을 의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의심할 바 없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
나는 사고의 회로가 망가진 사람들을 알고 있다.
사람은 표지물 없이 직선으로 걷지 못한다고 한다. 장기가 신체의 좌우에 불균형하게 분포하기 때문이라 했던가, 광야를 걷는 사람은 자신이 똑바로 걷고있다 생각하지만 실상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치우쳐 거대한 원을 그리게 된다고 들었다.
사고의 회로가 망가진 사람도 마치 그와 같았다. 그들이 그리는 원은 때로 매우 커서 직선처럼 보이기도, 매우 작아서 제자리를 맴도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그들은 대개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은채 자신만의 원을 한없이 덧그리고 있었고, 나는 그들이 그린 원의 자취를 보며 형언하기 어려운 감정에 빠져들곤 했다.
그 감정은 서글픈 것이기도 두려운 것이기도 했지만, 말로 표현할 수 없었던 것은 거기 존재하던 공백의 감각 때문이라 생각한다. 크기와 깊이를 메우지 못하는 내용의 결여, 비어있는 지도, 빛이 닿지 않는 심연, 나스카 평원의 그림.

나는 겁이 많았고 사람은 놀라우리만치 쉽게 부서진다는 것도 알았다. 이름없는 땅에 발을 딛지 않도록 조심하며 살았고 경계를 걸을 때면 주의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방향을 잃지 않고자 늘 다음 표지물을 찾으려 노력했다고 생각한다. 헛된 발악일 뿐이라 여기면서도 그만두지 않은 것은 순전히 내가 겁이 많았기 때문이라고도 생각한다.

그럼에도 여전히 사람은 놀랍도록 쉽게 부서진다는 사실이 남아 나는 내가 서있는 곳을 알지 못하게 되었다. 나는 이런 일이 재미있다고 생각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7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38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563
113133 김지은입니다 를 읽고 - 2 [6] Sonny 2020.08.14 947
113132 오늘의 일기...(미션) 안유미 2020.08.14 264
113131 코로나의 확산세가 다시 뚜렷하군요 [1] 예상수 2020.08.14 923
113130 인간이라는 동물/ 바위 [11] 어디로갈까 2020.08.14 777
113129 이런저런 대화...(삼성역) [1] 안유미 2020.08.14 438
113128 왜 영원에서 하루를 더한다는 것일까 [4] 가끔영화 2020.08.13 524
113127 유튜브;대사과의 시대군요 [5] 메피스토 2020.08.13 1070
113126 요즘 유일하게 ‘꼭 챙겨보는 예능 - ‘구해줘 홈즈’ [2] ssoboo 2020.08.13 823
113125 고스트 스토리 1981 [5] daviddain 2020.08.13 469
113124 당신의 과녁, 방백남녀, 아티스트 감상...과 잡담 [1] 안유미 2020.08.13 441
113123 [바낭] 말로만 듣던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해 봤습니다 [7] 로이배티 2020.08.13 609
113122 대통령,민주당 지지율에 일희일비하지 말아야겠죠? [12] 산호초2010 2020.08.13 1006
113121 강귀섭씨의 법인카드, 코레일 낙하산 [15] 겨자 2020.08.13 1165
113120 [넷플릭스] 레미제라블 25주년 라이브 영상이 있네요 [9] 노리 2020.08.13 680
113119 [바낭] 대중 음악들의 비교적(?) 아마추어 합창 커버 무대 몇 개 [3] 로이배티 2020.08.13 336
113118 [나눔의 집]에 대한 깊은 빡침 [11] ssoboo 2020.08.12 1219
113117 안타까운 일이 벌어졌네요 [4] 타락씨 2020.08.12 1561
113116 씨네21: 송경원의 프론트라인(반도와 라오어 시리즈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4] 예상수 2020.08.12 612
113115 [넷플릭스바낭] 과감한 짝퉁(?) 호러 '더 메이드'를 봤습니다 [4] 로이배티 2020.08.12 661
113114 영화 '결백'을 봤는데 궁금한 점... 지나가다가 2020.08.12 43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