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을 추모하고 두려움을 이겨내고 행동하는 사람들과 연대하는 마음을 담아
이하 전문 그대로 올립니다.

▪️고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지난 12월 27일 한 명의 배우가 너무나 안타깝게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지난 10월 19일 한 일간지의 "배우 L씨의 마약과 관련한 정보를 토대로 내사 중이다"라는 인천시경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최초 보도 이후 10월 23일 그가 정식 입건된 때로부터 2개월여의 기간 동안, 그는 아무런 보호 장치 없이 언론과 미디어에 노출되었다. 간이 시약 검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감정을 위한 시약 채취부터 음성 판정까지의 전과정이, 3차례에 걸친 경찰 소환조사에 출석하는 모습이 모두 언론을 통해 생중계되었으며 사건 관련성과 증거능력 유무조차 판단이 어려운 녹음파일이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결국 그는 19시간의 수사가 진행된 3번째 소환조사에서 거짓말 탐지기로 진술의 진위를 가려달라는 요청을 남기고 스스로 삶의 마침표를 찍는 참혹한 선택을 하게 되었다.

이에 지난 2개월여 동안 그에게 가해진 가혹한 인격살인에 대해 우리의 입장을 밝히는 것이, 유명을 달리한 동료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 생각하여 아래와 같은 입장을 밝힌다.

1. 수사당국에 요구한다.

고인의 수사에 관한 내부 정보가 최초 누출된 시점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2개월여에 걸친 기간 동안 경찰의 수사보안에 한치의 문제도 없었는지 관계자들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

수사가 진행되는 동안 공보책임자의 부적법한 언론 대응은 없었는지, 공보책임자가 아닌 수사업무 종사자가 개별적으로 언론과 접촉하거나 기자 등으로부터 수사사건 등의 내용에 관한 질문을 받은 경우 부적법한 답변을 한 사실은 없는지 한치의 의구심도 없이 조사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기를 요청한다. 특히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감정 결과 음성판정이 난 지난 11월 24일 KBS 단독보도에는 다수의 수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어떤 경위와 목적으로 제공된 것인지 면밀히 밝혀져야 할 것이며, 3번째 소환조사에서 고인이 19시간의 밤샘 수사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게 혐의를 부인한 후인 12월 26일에 보도된 내용 역시 그러하다.

언론관계자의 취재 협조는 적법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3차례에 걸친 소환절차 모두 고인이 출석 정보를 공개로 한 점, 당일 고인의 노출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점이 과연 적법한 범위 내의 행위인지 명확하게 밝힐 것을 요청한다.

수사당국은 적법절차에 따라 수사했다는 한 문장으로 이 모든 책임에 대해 자유로울 수 없다. 수사 과정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만이 잘못된 수사관행을 바로잡고 제2, 제3의 희생자를 만들지 않는 유일한 길이다.

2. 언론 및 미디어에 묻는다.

고인에 대한 내사 단계의 수사 보도가 과연 국민의 알권리를 위한 공익적 목적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는가? 대중문화예술인이라는 이유로 개인의 사생활을 부각하여 선정적인 보도를 한 것은 아닌가? 대중문화예술인이라는 이유로 고인을 포토라인에 세울 것을 경찰측에 무리하게 요청한 사실은 없었는가? 특히 혐의사실과 동떨어진 사적 대화에 관한 고인의 음성을 보도에 포함한 KBS는 공영방송의 명예를 걸고 오로지 국민의 알권리를 위한 보도였다고 확신할 수 있는가? KBS를 포함한 모든 언론 및 미디어는 보도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기사 내용을 조속히 삭제하기 바란다.

대중문화예술인이 대중의 인기에 기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용하여 악의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소스를 흘리거나 충분한 취재나 확인절차 없이 이슈화에만 급급한 일부 유튜버를 포함한 황색언론들, 이른바 '사이버 렉카'의 병폐에 대해 우리는 언제까지 침묵해야 하는가? 정녕 자정의 방법은 없는 것인가?

3. 정부 및 국회에 요구한다.

설령 수사당국의 수사절차가 적법했다고 하더라도 정부 및 국회는 이번 사망사건에 대해 침묵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형사사건 공개금지와 수사에 관한 인권보호를 위한 현행 법령에 문제점은 없는지 점검하고 필요한 법령의 제·개정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

피의자 인권과 국민의 알 권리 사이에서 원칙과 예외가 뒤바뀌는 일이 없도록, 수사당국이 법의 취지를 자의적으로 해석·적용하는 일이 없도록 명확한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우리는 위 요구와 질문에 대하여 납득할만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고 이선균 배우의 명복을 빕니다.

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 부산국제영화제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여성영화인모임 / 예술영화관협회 / 영화수입배급사협회 /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 전주국제영화제 / 한국녹음감독협회 /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독립PD협회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 한국매니지먼트연합/ 한국방송실연자권리협회 /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 한국방송영상제작사협회 / 한국방송예술인단체연합회 / 한국방송작가협회 /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 한국연예매니지먼트연합회 / 한국연예제작자협회 / 한국영화감독조합 / 한국영화마케팅사협회 / 한국영화미술감독조합 / 한국영화제작가협회 /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5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34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516
125513 오범석 좀 그만 깠음 좋겠어요 [12] snpo 2010.06.18 5366
125512 SBS의 월드컵 석자평. [6] 01410 2010.06.18 3897
125511 농구의 4쿼터, nba 파이널 7차전 마지막 경기 [3] catgotmy 2010.06.18 2122
125510 여러분이 생각하는, 같은 시절을 보낸, 최고의 스포츠맨은 누구입니까? [35] 셜록 2010.06.18 2954
125509 아...이건 완벽해..완소음식..코타지 치즈.... [8] 주근깨 2010.06.18 4981
125508 [듀9] A조 경우의 수 [10] 푸네스 2010.06.18 2417
125507 최악의 문자 베스트 20 [8] Wolverine 2010.06.18 4071
125506 파트리샤 프티봉 [2] DJUNA 2010.06.18 2253
125505 어제 들은 최고의 길거리 대화 [8] art 2010.06.18 4931
125504 아침부터 밥의 바낭... [1] bap 2010.06.18 1748
125503 선제골 먹는 순간 끝난 경기였습니다 [8] 봐길베르 2010.06.18 2972
125502 내가 메시다 기자놈아! [10] 룽게 2010.06.18 6018
125501 제가 경험한 최악의 문자? [3] Rockin 2010.06.18 3213
125500 [듀나인] 크롬과 사파리에서 한국 싸이트를 들어갈때 [1] 애플 2010.06.18 2013
125499 티아라 효민,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출연 감동 2010.06.18 2848
125498 SBS 월드컵 독점이 자해가 될 가능성 [2] soboo 2010.06.18 3340
125497 남미인을 웃긴 여자 [3] 남자간호사 2010.06.18 3633
125496 참여연대 현장속보- 어버이연합 똥 오줌 싸서 왔습니다. [1] 룽게 2010.06.18 3425
125495 악의를 가지고 루머를 뿌리는 사람에게 대처하는 법? [2] 어라라 2010.06.18 2719
125494 성희롱하면 3천만원? - 그때 그 사건의 지루한 뒷이야기 [1] DH 2010.06.18 31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