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시인 겸 평론가인 도로시 파커. 앨곤퀸 호텔 누리집 갈무리

미국의 시인 겸 평론가인 도로시 파커. 앨곤퀸 호텔 누리집 갈무리








면도칼은 아프고


강물은 숨막히고


산은 흠을 남기며


약물은 경련을 일으키네


총은 불법이고


올가미는 풀릴 지 모르고


가스는 냄새가 고약하니










차라리 사는 게 낫겠다


- 도로시 파커 <다시 시작하라>



도로시 파커(1893~1967). 시인, 소설가, 시나리오 작가, 평론가였다. 신랄한 독설과 풍자로 유명했다. 불우한 어린 시절과 3번의 이혼, 알코올중독, 우울증, 자살 기도, 평탄치 않은 삶을 살았다.

파커의 삶에는 2개의 뉴욕 호텔이 있다. 전성기였던 1920년대, 맨해튼의 앨곤퀸 호텔에서 평론가들과 함께 세상과 문학을 논했다. ‘앨곤퀸 라운드 테이블’의 전설을 그렇게 쌓았다. 또 하나는 볼니 호텔. 센트럴파크 인근 레지던스 호텔인 이곳에서 홀로 말년을 보냈고, 숨진 채 발견됐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염문을 뿌렸고, <위대한 개츠비>의 작가 스콧 피츠제럴드의 장례식에 유일하게 참석했고, 영화 <스타 탄생>(1937) 시나리오를 써 아카데미 각본상도 받았으나, 2차대전 이후 좌파로 찍혀 미 연방수사국(FBI)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자신의 재산을 마틴 루서 킹 목사에게 전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묘비명은 “먼지를 일으켜 죄송합니다”이다. 말 그대로 불꽃처럼 살다 갔다. 파커가 묵었던 앨곤퀸 호텔 1106호는 ‘파커 스위트(suite)’로 이름 붙여 특별상품화되어 있다.



[유레카] 도로시 파커, 최영미 & 호텔


권태호 논설위원 ho@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10695.html#csidxbc4bf46f30e9f96925ea4f1462a9432 onebyone.gif?action_id=bc4bf46f30e9f9692

(전문은 여기에 있습니다)






도로시 파커는 누구인가...





최영미 "파커처럼 호텔서 살다 죽는 것"…도로시 파커 누구?

신랄한 독설과 재치로 인기…호텔 스위트룸에서 글쓰기 즐겨

머니투데이 한지연 기자 |입력 : 2017.09.11 15:05





도로시 파커/사진=Poet Foundatin 제공

도로시 파커/사진=Poet Foundatin 제공



....도로시 파커는 보그(Vogue)와 베니티페어(Vanity Farir)에서 드라마 등의 논평을 쓰며 평론가로 일을 첫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신랄한 독설로 베니티 페어에서 해고된 이후 라이프 지(Life)로 자리를 옮겼다.

도로시 파커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알곤퀸 라운드 테이블'(Algonquin Round Table)이다. 알곤퀸 라운드 테이블은 1920년대 당시 미국 문학에서 가장 유명한 그룹인 '바이셔스 서클'(Vicious circle)이 주도한 비공식적 작가모임이다. 존 F.케네디의 어린 시절 소원 중 하나가 알곤퀸 라운드 테이블의 멤버가 되는 것이었다고 전해진다.





알곤퀸 호텔의 도로시파커 스위트룸/사진=알곤퀸 호텔

알곤퀸 호텔의 도로시파커 스위트룸/사진=알곤퀸 호텔


.....멤버들은 뉴욕의 알곤퀸 호텔의 원탁 테이블에 둘러앉아 점심을 먹으며 시사와 문학에 대해 토론했다. 알곤퀸 호텔의 라운드 테이블에서 많은 책과 영화가 탄생했으며 주간잡지 '뉴요커'(Newyorker)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뉴요커의 본사는 지금도 알곤퀸 호텔 맞은편에 위치해있다. 파커도 뉴요커에 논평을 여러편 실었다.

1922년 파커는 '그런 작은 그림처럼(Such a Pretty Little Picture)' 이라는 제목의 첫 단편을 발표했다. 1925년에 발표한 첫번째 시집 '이너프 로프'(Enough Rope)는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1929년엔 자신의 자서전인 단편소설 '빅 블론드'(Big Blonde)로 오 헨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파커의 이야기에는 가족, 인종, 전쟁 및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질문과 고민이 묻어난다. 소외계층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 미국 내 흑인들에게 존경받는 인물이기도 했다.




알곤퀸 호텔(왼쪽)과 알곤퀸 라운드 테이블의 멤버. 가운데 여자가 도로시 파커./사진=빌글래드스톤

알곤퀸 호텔(왼쪽)과 알곤퀸 라운드 테이블의 멤버. 가운데 여자가 도로시 파커./사진=빌글래드스톤




.....파커는 글을 쓰는 모든 분야에서 뛰어났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1930년대 할리우드로 옮겨 1937년 영화 시나리오인 스타탄생(A star is born)을 써 아카데미 상을 받았다. 파커는 정치적으로는 2차 세계대전 후 할리우드를 휩쓴 반공주의에 대항한 좌파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할리우드에서 두 번째 이혼을 맞은 파커는 다시 뉴욕으로 거주지를 옮긴다. 호텔에서 글쓰기를 즐겼던 그는 1967년 뉴욕의 한 호텔에서 심장마비로 숨진채 발견됐다. 파커는 흑인차별에 반대하는 의미로 마틴루터킹(Martin Luther King Jr.) 목사에게 전 재산을 남겼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91110172359379&outlink=1&ref=http%3A%2F%2Fsearch.naver.com

(기사 전문은 여기에 있습니다)




-----------------------------------------------------------------------------------




도로시 파커는 당대 사교계의 유명인사였군요. 그런 반면 뛰어난 문인이기도 하고 사회의식도 남달라서 매카시즘과 싸우고 흑인 인권운동에 앞장서고...한 시대를 정말 화려하고 치열하게 산 사람이군요.




그리고 이 사태에 대한 젊은 작가의 글 하나




여전히, 최영미에겐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

'비참한 것'만 떠오르는 여성작가의 삶... 호텔에서 글 쓰는 '여류' 시인을 보고 싶다

17.09.14 11:58l최종 업데이트 17.09.14 11:58l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60002

(전문은 여기에 있습니다)




'비참한 것'만 떠오르는 여성작가의 삶... 호텔에서 글 쓰는 '여류' 시인 보고 싶다


.....나는 문예창작학과 국어국문학을 전공했다. 그녀가 시를 가르치는 자리를 달라고 했다면 필시 창작 강의일 것이라고 짐작해 본다. 나는 창작 강의가 주를 이루는 문창과에 다니면서 많은 강사와 교수를 만났다. 그중에서는 국문학이나 문예창작학 석박사 학위가 없는 경우도 분명 있었고,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 학위를 가지고 교수 자리에 있기도 했다. 당시 학위를 제한하지 않는 예외 조항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성'이 인정되는 경우였는데, 첫 시집만 54쇄가 팔려 한 시대를 풍미한 최영미 시인은 그저 운이 나빴을 뿐인 것일까?

네 해 전을 기준으로 한 모교 정교수의 평균 연봉은 1억463만 원이었다. 재작년 기준 문인 중 예술활동 관련 수입이 없는 사람이 절반에 가까우며(49.2%), 연간 500만 원 미만을 버는 사람이 34.6%다. 반면 예술활동으로 연 5000만 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사람은 전체의 0.1%다. 예술활동 밖에서조차 수입이 없는 사람 역시 37.9%에 달한다. 예술 이외의 활동으로 5000만 원 이상을 버는 사람은 5.6%이다.

예술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익이 500만 원 미만인 경우, 여남 비율은 각각 59.8%, 50.8%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10%포인트 더 많다. 고수익(연 4000만 원 이상) 집단을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두 배가 넘게 차이 난다. 물론 적은 쪽이 여성(4.3%)이다(문화체육관광부 예술인실태조사 2015).


학교를 다니면서 들은 수준 미달의 강의가 꽤 있었다. 임용 때 운 좋게 들어와서 버티고 있다는 소문이 도는데, 수업이 지루해 졸고 있는 학생들을 교실 문밖으로 내보내는 교수가 있는가 하면, 수업 시간을 한 시간 지각하는 게 매사 양반이고 "내가 홍대 가면 너네 또래의 바텐더들이랑 술 먹는다"는 별로 재미없는 농담 따먹기를 하는 강사도 있었다. 물론 비즈니스맨처럼 강의계획서를 짜 와서 아주 성실하게 가르치는 수업도 있었지만, 이런 사람들 덕에 나는 졸업할 즈음에는 이 학과가 학문 분과로서 존속해도 되는 학과인지 다소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모교 대학원에 안 갔다. 열심히 공부했지만 수업에서 뭔가를 배웠다는 뿌듯한 기분으로 교문을 나설 수 없었다. 굳이 문예창작'학'씩이나 가르쳐서 나 같이 느끼는 학생을 만들어 낸다면 그건 뭔가 잘못된 일인 것 같았다. 하지만 조금 지나서 알게 되었는데, 학문의 존폐를 논하기 전에, 나는 "아버지의 언어로 읽고 쓰는 일이 숨이 막혔"던 것이다.

참 우연이다. 앞서 적은 '수준 미달'의 수업을 한 교수들이 모두 남성이었다니. 아니, '수준 미달'의 여교수 수업을 접할 기회라도 많이 있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강사들 몇 명을 제외하곤 여자 정교수의 창작 강의는 소설과 시에서 각각 한 번씩 들을 수 있던 게 전부였다. 또 우연찮게도, 그 수업들이 내가 들은 창작 강의 중 제일 좋았다.


어딘가에서 반드시 최 시인에게 창작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 자리를 줬어야 했다는 말은 아니다. 결국 공부할 만한 학문을 찾아 대학원에 진학한 동문이 내게 말했듯 "(교수들이) 엄연히 학자의 자리에 앉아 있으면서 예술가 연기하는 게 보기 좋지 않았다"는 의견에도 동의한다. 하지만 그녀도 시창작 전문가가 맞다.

더 주목해야 하는 지점은 다른 데 있다. 누구에게는 기회가 주어졌고, 누구에게는 주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문예창작학과에는 여학생들의 비율이 늘 절반 이상이거나, 혹은 훨씬 더 높다. 그러나 과거 홍보팀에서 3년쯤 동문들의 진로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했을 때, 막상 작가로 데뷔하는 비율을 살펴보니 성비가 비슷하거나 남학생들이 더 많은 것으로 보였다. 왜 그랬을까? 데뷔한 이후에 여성으로서의 자의식을 가진 글쓰기를 하는 여성 작가를 떠올리면, 찾기 어렵다. 왜 그랬을까? 학과 내 정·부교수 중 여성 교수는 단 한 명이었다. 왜 그랬을까?





---------------------------------------------------------------------------------



 최영미 시인이 국문학 학위가 없어서 대학에 강의 자리를 얻지 못했다는 얘기를 듣고 그 분이 서양사(학부)와 서양미술사(대학원) 학위만 있어서 그런가 했었는데 문예창작과 시 강의라면 충분이 자격이 있다는 얘기네요. 맞아요. 20년 전이긴 하지만 50만부가 넘는 시 베스트셀러를 냈고 이후로도 꾸준히 23권이 넘는 저서들을 냈는데 대학 외부 강사 자격은 충분한거 아닌가요?(정교수 자리를 원한것도 아닌데;;)




젊은 작가의 좋은 글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제가 국문학과나 문예창작과 사정은 잘 모르지만 비싼 등록금 내고 저런 교수들한테 수업받았으면 정말 힘들었겠네요;;

(아이고....부모님 등골...T.T)


'비참한 것'만 떠오르는 여성작가의 삶... 호텔에서 글 쓰는 '여류' 시인 보고 싶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2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40
126558 칼리굴라 완전판 예고편/시리즈온 무료 ㅡ 지옥의 묵시록 파이널 컷 7.4.까지 new daviddain 2024.06.26 40
126557 We Don't Talk About Bruno - 헝가리어 new catgotmy 2024.06.26 18
126556 이런저런 잡담... 여은성 2024.06.26 103
126555 잡담바낭 - Oil, GPU, 그리고 자본주의 상수 2024.06.26 73
126554 [넷플릭스바낭] SF인줄 알고 봤지 뭡니까. '행복도시'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4.06.25 146
126553 심심하신 분들은 롯데 기아 보세요/하이라이트 영상 [40] update daviddain 2024.06.25 168
126552 인사이드 아웃2 스페인,남미 예고편을 별생각없이 보니/프랑스 예고편의 따분이 daviddain 2024.06.25 90
126551 프레임드 #837 [2] Lunagazer 2024.06.25 33
126550 왜 ‘프렌치 수프’를 봤는데 ‘베이크드 알래스카’가 먹고 싶어지는가?(스포일러 없음) [4] ally 2024.06.25 155
126549 Love is an open door 크로아티아어 catgotmy 2024.06.25 34
126548 모임, 동호회에서 한 인간이 흑화하는 과정에 대해 [4] ND 2024.06.25 477
126547 [정보] 에릭 로메르 감독전 - 아트하우스 모모 6.24~7.6 soboo 2024.06.24 111
126546 왓챠의 옛날 홍콩영화들은 한글자막이 있다는것에 의미를 둬야겠군요. [2] ND 2024.06.24 168
126545 [넷플릭스바낭] 제목이 참 직관적인 대만 호러, '여귀교'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4.06.24 190
126544 에피소드 #95 [4] Lunagazer 2024.06.24 66
126543 Jennifer Lopez -I'm glad daviddain 2024.06.24 46
126542 프레임드 #836 [4] Lunagazer 2024.06.24 162
126541 "악마와의 토크쇼" imdb 트리비아 [6] update 폴라포 2024.06.24 249
126540 폴라 압둘 forever your girl과 백 투 더 퓨처 2교집합 daviddain 2024.06.24 69
126539 옆집 사람이 이상합니다 [7] catgotmy 2024.06.23 653
XE Login